요즘 같은 추운 날씨에 체온 관리를 잘못하여 감기가 걸리거나, 아니면 무심코 방치했던 음식으로 인한 장염등으로 처방된 정제(알약)을 복용하게 됩니다.
이런한 정제 (알약)에도 종류있습니다.
일반정제(알약) , 설하(舌下)정 , 트로키제, 발포(發泡)정, 시럽제,물약 등이 있는데요, 종류별 정제(알약) 먹이는방법 5가지를 설명해드리겠습니다.
1. 일반 정제(알약) 먹이는방법
약을 드실 때는 충분한 물을 마셔야합니다. 단 장용피정(정제의 표면을 특수 처리하여 약이 위에서 녹지 않고 장에서 녹게 만든 약)을 복용할 경우 절대로 씹어서 먹으면 안됩니다(이럴경우 위에서 녹아 본래의 약효를 보지 못합니다).
**** 소화제인 훼스탈포르테 정 , 변비에 먹는 둘코락스에스 정이 장용피정 약입니다. ****
단, 물을 많이 마시면 안되시는 분은 약이 넘어 갈수 있을 정도의 물을 마셔야합니다. 그러지 않으면 약이 식도에 붙여 위염을 일으킬수도 있습니다.
.
.
2. 설하(舌下) 정 먹이는방법
설하정은 혀밑에 넣은 후 녹아내린 약 성분이 혀밑의 점막을 통해 몸속으로 흡수되도록 하는 약인데 주로 협심증을 치료하는 약인 니트로글리세린이라는 약이 대표적인 설하정 약입니다.
**** 약을 사탕처럼 녹여 먹으면 됩니다. ****
3. 트로키제
설하정과 비슷한 방식인데요, 트로키제는 입안의 점막 염증이나 인후두부의 염증 등에 처방되는 약으로 침으로 녹여 복용하는 약입니다.
**** 침으로 녹여야 하는데, 씹거나 삼켜서는 안됩니다. ****
4. 발포(發泡)정
내복하는 발포정은 물에 녹인 후 녹인 약물을 복용합니다. 외용으로 된 발포정도 있습니다.
5. 시럽제, 물약 먹이는방법
어린아이에게 처방이 많이되는 약처럼 느껴지는데요.
복용 전 병안에 약을 잘 흔들어 계량컵, 계량숟가락으로 처방된 용량을 부어 마시는 약입니다.
이런 약은 사용 후 이 물질이 들어가지 못하게 뚜껑를 잘 닫고, 냉장고등 냉암소에 보관해야합니다.
이상 정제(알약) 종류별 약 먹이는 방법을 적어봤습니다.
.
'건강&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초석잠 먹는방법 및 초석잠 종자 보관방법 (0) | 2016.12.27 |
---|---|
어린이 약 잘 먹이는 방법 5가지 (0) | 2016.12.26 |
기초노령연금신청서류 및 기초노령연금대상 준비서류 (0) | 2016.12.26 |
피마자기름 부작용, 아주까리기름 부작용 (0) | 2016.12.25 |
아주까리 , 피마자기름 효능 변비에 좋습니다. (0) | 2016.12.24 |